1. 전남도, CES서 기술력·성장 가능성 세계에 알려
- 기업 15곳 참여 전남관 운영…2천822만 달러 수출 업무협약 -
- 장비 공급·플랫폼 개발 협약 등 글로벌시장 진출 발판 마련 -
【국제협력지원관 조형근 286-2411, 글로벌마케팅팀장 심명섭 286-2440】
전라남도는 10일까지 4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인 CES 2025에서 전남관을 운영, 기업의 혁신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세계에 알리고, 2천822만 달러 규모의 수출 업무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전남관에는 15개 기업이 참여해 인공지능(AI), 메타버스,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비케이에너지는 미국 A사에 10MW 규모의 그린수소발전기를, 미국 B사에 수상태양광 장비를 공급하는 총 2천802만 달러 계약을 했다.
㈜터빈크루는 미국 C사와 20만 달러 규모의 스마트가로등 공급 협약, ㈜스마트큐브는 미국 D사와 메타버스 기반 전자상거래 플랫폼 개발 업무협약을 하며 글로벌시장 진출 발판을 마련했다.
㈜휴먼아이티솔루션과 ㈜비케이에너지는 CES 2024에 이어 2년 연속 참가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휴먼아이티솔루션은 글로벌기업인 메타(META) 플랫폼에 확장현실(XR)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입점시켜 월 8천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비케이에너지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네바다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참가 기업들은 글로벌 벤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신기술을 선보였다. ㈜뉴작은 신체 착용기기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확장현실 플랫폼 기술로 메타버스와 콘텐츠·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했다.
㈜스마트큐브는 3D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투어 정보 서비스를, ㈜네오드림스는 재활치료용 인공지능 코칭 시스템을 소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기업 기술 발표를 참관한 LA 썬스톤 매니지먼트 벤처캐피탈의 리차드 준은 “전남 기업은 CES 2025에서 강조된 인공지능 기술을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미래 먹거리와 혁신 솔루션을 창출할 잠재력이 높다”며 투자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김영록 지사는 “CES 2025는 전남 기업이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할 기회였다”며 “㈜휴먼아이티솔루션과 ㈜비케이에너지가 CES에 지속적으로 참가해 성과를 낸 것처럼 지역 기업이 첨단 기술 발전과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의료계 헌신적 나눔 잇따라
- 대한한약사회 기부…전남도의사회·한의사협회·약사회 등도 의료지원 -
【식품의약과장 권장주 286-5750, 응급의료팀장 손성일 286-5780】
전라남도는 대한한약사회가 9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1천만 원 상당의 한방의약품을 기부하는 등 의료계의 헌신적인 나눔활동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기부는 피해자 가족의 신속한 회복을 돕기 위한 나눔활동 일환으로 이뤄졌다.
기부된 한방의약품은 우황청심환 등 3종류로, 사고 피해에 따른 체력 회복과 심리적 안정, 통증 완화 등을 돕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발생 초기부터 지역 의료계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전남도와 협력해 적극적인 의료 지원과 봉사활동을 전개하며 피해자 가족을 돕기 위해 헌신적 노력을 기울였다.
전남도의사회는 피해자 가족을 위한 수액 처방 및 투여를 진행하고, 전남도한의사협회는 침 치료와 3천만 원 상당의 한방의약품 지원을 통해 환자의 몸과 마음을 돌봤다.
전남도약사회도 4천만 원 상당의 의약품 지원과 복약 상담을 통해 피해자 가족의 신체적 회복을 돕는 데 힘을 보탰다.
지역 의료계는 의료봉사에 그치지 않고, 피해자 가족을 돕기 위한 의약품 및 한방의약품 등 기부 활동에도 적극 나서는 등 피해자가 겪는 신체적 고통과 심리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헌신적 노력과 지원에 펼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어려운 순간마다 헌신을 아끼지 않는 지역 의료계에 깊이 감사드린다. 이들의 희생정신이 모두에게 큰 감동을 줬다”며 “전남도는 앞으로도 피해자 가족 의료·심리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서울시의사회·한의사회·약사회와 협력해 약품, 의약외품, 한방의약품 등 물품 2만여 개를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