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올해 108억 원을 들여 생산부터 유통, 수출까지 전 주기에 걸쳐 천일염 산업을 육성키로 한 가운데 28일 신안 태평염전에서 풍년 생산을 기원하는 ‘2025년 첫 천일염 채염식’ 행사를 했다고 밝혔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바람과 햇볕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얻는 자연친화적 소금이다. 마그네슘·칼륨·칼슘 등 건강에 이로운 미네랄이 풍부하다.
특히 전남은 따뜻한 기후와 큰 조수간만의 차, 천연 갯벌 등 천일염 생산에 최적화된 자연환경을 갖춰 전국 생산량의 약 91%(2024년 18만 9천 톤)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 천일염 주산지이다.
* 천일염 생산량(’24년 기준) : 전국 208천톤, 전남 189천톤(91%)
** 천일염 생산액(’24년 기준) : 전국 1,833억 원, 전남 1,660억 원(90%)
이에 따라 전남도는 천일염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고급화를 통해 천일염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생산 자동화와 염전 생산환경 조성을 위해 ▲자동채염기(6억 8천만 원) ▲전동대파기(6억 1천만 원) ▲이동수레 자동화 장비(1억 5천만 원)를 보급하고 ▲대규모 생산단지(100ha·총사업비 30억 원) 등을 조성한다.
품질·위생 관리 및 장기저장시설 확보를 위해 ▲포장재 지원(6억 3천만 원) ▲염전 바닥재 개선(45억 8천만 원) ▲장기 저장시설(3억 5천만 원) 등을 지원한다.
국내 천일염 가격의 안정과 수출 확대를 위해 ▲소금박람회 개최(2억 4천만 원) ▲명품천일염 홍보(2억 3천만 원) ▲수출용 제품 개발 및 해외 마케팅(1억 4천만 원) 등을 강화하고, 지난해 9월 개소한 ▲천일염 종합유통센터를 본격 가동해 수출 천일염에 대한 컨트롤타워 기능을 지원하고, 글로벌시장 확대를 더욱 강화한다.
이 밖에도 ▲염전 근로자를 위한 숙소 건립(3개소 31억 원) ▲근로 실태 조사(8천만 원) ▲맞춤형 교육 운영(1천만 원) 등에 투자해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한 복지 사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강석운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은 “전남 천일염은 자연이 준 최고의 선물로, 국민 식탁의 건강을 책임지는 동시에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명품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 기반 정비와 유통 기반 확충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