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유일의 ‘빅5’ 병원인 서울대병원(본원+분당)이 2025년 상반기에만 1,356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적자 규모는 33.8% 줄었지만, 여전히 천억 원대 손실이 이어지며 구조적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의원(더불어민주당·순천갑)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은 올해 상반기 총수익이 1조 5,102억 원에 달했으나 총비용이 1조 6,458억 원으로 더 많아 대규모 적자를 냈다.
서울대병원은 2023년까지 반기별 병상가동률이 80%를 웃돌고, 외래환자수 200만 명 이상, 입원환자수 50만 명 이상을 유지했다. 그러나 의정 갈등이 본격화된 이후 환자 수가 급격히 줄어 2025년 상반기에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상반기 병상가동률은 본원 66.7%, 분당 67.7%에 머물렀다. 외래환자수는 172만 명, 입원환자수는 36만 명으로 각각 의정 갈등 이전보다 30만 명, 14만 명 이상 줄어든 수치다. 환자 기반이 약화되면서 진료수익은 정체된 반면, 인건비와 시설관리비 등 고정비 성격의 총비용은 꾸준히 증가해 적자 폭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다.
[표] 서울대병원 전체(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 2023년~2025년 운영현황
(단위:억 원, 만 명, %, 건) |
||||||||
연도 |
총수익 |
총비용 |
당기 순이익 (손실) |
입원 환자수 |
병상가동률 |
수술 건수 |
외래 환자수 |
|
본원 |
성남 |
|||||||
2023년 상반기 |
14,885.5 |
15,688.8 |
-803.3 |
50.5 |
84.7% |
86.8% |
39,063 |
208.0 |
2023년 하반기 |
13,766.4 |
12,941.6 |
824.8 |
50.6 |
83.0 |
86.4% |
38,079 |
207.1 |
2023년 전체 |
28,651.8 |
28,630.3 |
21.5 |
101.1 |
83.8 |
86.6% |
77,142 |
415.1 |
2024년 상반기 |
13,018.3 |
15,065.1 |
-2,046.8 |
35.7 |
57.6 |
62.8% |
24,580 |
177.1 |
2024년 하반기 |
12,371.1 |
11,413.7 |
957.3 |
34.0 |
54.5 |
61.4% |
26,001 |
170.4 |
2024년 전체 |
25,389.4 |
26,478.9 |
-1,089.5 |
69.6 |
56.1 |
62.1% |
50,581 |
347.4 |
2025년 상반기 |
15,102.2 |
16,458.2 |
-1,356.0 |
36.4 |
66.7 |
67.7% |
29,242 |
172.5 |
(출처) 서울대학교 병원 |
더 큰 문제는 서울대병원만의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다. 2025년 상반기 국립대병원 전원이 적자를 기록했으며, 전체 당기순이익·손실 합계는 마이너스 3,502억 원에 달했다. 일부 병원은 적자 규모가 줄었으나, 강원대·경상국립대·제주대병원은 오히려 적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국립대학병원 당기손이익
(단위: 억 원) |
|||||||
|
2022년 상반기 |
2022년 하반기 |
2023년 상반기 |
2023년 하반기 |
2024년 상반기 |
2024년 하반기 |
2025년 상반기 |
강원대 |
-46.1 |
-85.2 |
-51.1 |
-144.4 |
-144.3 |
-170.6 |
-156.8 |
경북대 |
624.2 |
76 |
-123.2 |
-284.7 |
-587.2 |
-452.5 |
-443.9 |
경상국립대 |
187.1 |
-12.5 |
-104.9 |
-177.9 |
-210.9 |
-94.9 |
-249.5 |
부산대 |
558.7 |
-18.4 |
84.2 |
-520.7 |
-321.6 |
-304.5 |
-265.2 |
서울대 |
84.5 |
12.3 |
-803.3 |
824.8 |
-2,046.9 |
957.4 |
-1,356.0 |
전남대 |
335.6 |
-299.7 |
15.6 |
-243.7 |
-356.1 |
-321.4 |
-234.4 |
전북대 |
192.4 |
17.0 |
90.8 |
-178.1 |
-199.6 |
-291.3 |
-147.7 |
제주대 |
28.6 |
-120.0 |
-131.3 |
-207.2 |
-175.7 |
-136.2 |
-189.8 |
충남대 |
-159.0 |
-342.5 |
-438.6 |
-401.0 |
-451.3 |
116.4 |
-230.8 |
충북대 |
158.3 |
62.6 |
14.2 |
-60.5 |
-264.0 |
-154.7 |
-227.6 |
계 |
1,964.3 |
-710.4 |
-1,447.6 |
-1,393.4 |
-4,757.6 |
-852.3 |
-3,501.7 |
(출처) 10개 국립대학병원 |
김문수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막가파식 정책으로 국립대병원 전반이 적자늪에 빠져 있다”며 “국립대병원이 경영난으로 흔들린다면 국민의 생명 안전에도 직결될 수밖에 없다.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