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김밥 등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 원을 달성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 최초로 김을 양식한 광양김시식지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김밥, 김부각, 김스낵 등 한국인의 식탁을 넘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김을 인류가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한 것은 4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오른다.
병자호란에 의병으로 활약하던 김여익은 조정이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은 것을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 은둔하던 중 해초가 바다에 떠다니는 나무에 걸리는 것을 목격했다.
이에 착안, 1643년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인 태인도의 이점을 살린 섶꽂이 방식의 양식법을 최초로 창안 보급하면서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인조는 수라상에 오른 김에 매료됐고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에 그의 성을 따 ‘김’이라 부르도록 했다는 스토리는 듣는 이의 흥미를 끈다.
광양시 김시식지 1길에는 인류 최초로 김 양식법을 창안한 김여익의 공과 그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가 있다.
광양김시식지는 김 역사관, 유물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깨알 같은 안내와 함께 김의 역사와 유래, 제조과정 등 김에 관한 모든 것을 한자리에서 알 수 있다.
매년 음력 10월이면 김여익의 후손들은 김시식지 내 인호사에서 조상의 공을 기리고 있으며, 김의 풍작과 안녕을 기원하는 용지큰줄다리기가 300여 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김성수 관광과장은 “자연의 영역을 생산의 영역으로 확장해 김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 역사를 기리는 광양김시식지는 K-푸드 김을 최초로 양식한 창의공간이자 김 수출 1조 원 시대를 연 발원지”라면서 “광양김시식지를 찾아 그 장소가 갖는 역사와 의미를 되새기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김시식지는 설, 추석 등 명절 당일을 제외하고 연중무휴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되며, 문화관광해설사의 깊이 있는 해설이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다.
광양시 광양시 지난 25일 봉강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이웃 간 따뜻한 정을 나누고 안부를 확인하는 ‘온기나눔...
2024-11-28
광양시 광양시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지역 내 초·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폐자원(폐건전지) 수집 경진대...
2024-11-28
광양시 광양시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0~24개월 영아의 기저귀와 조제분 유 구입비를 지원한다고 28일 ...
2024-11-28
광양시 지난 27일 서울과 중부지방에 내린 눈이 근대 기상관측 117년 만에 11월 최고치 적설량을 기록한 ...
2024-11-28
광양시 광양시는 지난 27일 정인화 광양시장이 내년도 국비 확보와 주요 현안사업 건의를 위해 국회를 방문했다...
2024-11-28
광양시 광양시는 지난 27일 MBN((주)매일방송)과 ‘백운산 발효촌 동치미 마을’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
2024-11-28
광양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주민위원회(위원장 허형채)는 오는 11월 25일부터 12월 06일까지 13일간 광...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