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뉴스 (정치⋅행정)

지방대 시대 연다더니 수도권 쏠림 심해져

최근 10년 대학생수.. 수도권 비중 4.74% 포인트 증가, 비수도권 감소
허대성 기자   |   송고 : 2025-05-07 14:45:25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회의원

 

최근 10년 사이, 대학의 수도권 쏠림은 더 심해졌다.

 

2014~2024년 대학생수 수도권 비중의 추이

 

전문대학

대학

2014

42.56%

37.27%

38.63%

2015

42.23%

37.33%

38.58%

2016

42.45%

37.70%

38.89%

2017

42.55%

38.23%

39.31%

2018

42.86%

38.74%

39.75%

2019

43.04%

39.32%

40.22%

2020

44.02%

39.69%

40.73%

2021

44.61%

40.32%

41.31%

2022

45.20%

40.81%

41.78%

2023

46.15%

41.97%

42.87%

2024

46.54%

42.52%

43.37%

10년 증감

3.98%p

5.25%p

4.74%p

* 교육통계의 학생수로 비중 산출       ** 반올림, 사칙연산에 유의

 

교육통계의 연도별 학생수로 수도권 비중을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201442.56%에서 202446.54%10년새 3.98% 포인트 증가했다.  

 

대학은 37.27%에서 42.52%5.25% 포인트 증가했다. 2014100명 중 37명이던 수도권이 202140명대로 접어들었고, 지난해 2024년에는 42명을 넘어섰다.

 

전문대학과 대학을 합친 학부는 4.74% 포인트 늘었다. 비수도권은 그만큼 줄었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국정과제로 삼았던 윤석열 정부에서도 수도권 쏠림은 현재진행형이다. 전문대학은 202245.20%에서 202446.54%1.34% 포인트 늘었고, 대학은 같은 기간 1.72% 포인트 증가했다.

 

2014~2024년 시도별 대학생수 비중의 증감 현황(%p)

전문

대학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2.36

△1.85

0.63

0.56

△0.29

△0.78

0.49

0.10

1.06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0.86

△0.76

△0.30

0.43

△0.44

0.09

△0.70

0.27

 

대학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1.05

△1.19

△0.10

0.55

△0.13

0.25

△0.13

0.41

3.65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0.68

△0.30

△0.80

△0.58

△0.35

△0.98

△0.56

△0.09

 

 

시도별로 보면, 대학의 경우 서울, 인천, 대전, 세종, 경기 등 5곳이 늘었고 부산과 대구 등 12곳은 줄었다.

 

지난 10년 사이에 전문대학은 서울이 2.36% 포인트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대학은 경기가 3.65% 포인트의 가장 큰 폭을 보였다. 대체로 수도권이 늘어난 것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 갑)대학의 수도권 쏠림이 더 심해졌다. 윤석열 정부가 지방대학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했지만, 수도권에 첨단분야를 증원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상황은 나빠졌다, “지방 소멸과 교육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방대 집중투자와 국가 균형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10년 동안 추이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은 불균형하다. 대학의 경우 수도권은 1.62%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은 21.00% 감소하여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전문대는 수도권이 27.37% 줄어들 때 비수도권은 38.18%로 더 줄었다.

<전문대학> 시도별 학생수(1980~2024) 중에서 최근 10

 

(단위 : , %)

 

학생수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14

740,801

61,018

57,924

58,871

24,698

27,828

30,374

11,836

5,427

229,583

24,971

26,364

27,309

25,121

30,204

49,538

37,176

12,559

2015

720,466

59,499

55,347

57,468

23,821

27,245

30,122

11,571

5,195

220,935

24,941

25,544

26,703

26,288

29,466

47,607

36,125

12,589

2016

697,214

58,389

53,553

56,006

23,408

25,912

29,615

11,346

4,998

214,163

24,409

23,084

25,806

25,639

28,598

45,844

34,000

12,444

2017

677,721

57,653

50,576

54,776

23,055

25,714

28,527

11,141

4,850

207,688

23,932

23,272

24,795

25,542

27,064

43,982

32,751

12,403

2018

659,232

56,536

48,886

53,162

22,928

25,451

27,582

11,083

4,905

203,067

23,124

21,838

24,072

24,863

26,418

41,230

31,578

12,509

2019

643,762

55,619

46,717

52,254

22,871

25,051

27,040

11,316

4,789

198,581

22,659

20,414

23,444

24,305

25,407

39,628

30,527

13,140

2020

621,772

54,964

43,033

51,484

22,412

24,498

25,735

11,571

4,706

196,337

18,230

19,265

22,365

23,318

24,111

38,576

28,107

13,060

2021

576,041

53,988

38,093

47,693

21,717

22,754

22,712

11,235

4,273

181,271

15,013

17,381

20,346

22,327

21,617

36,728

26,352

12,541

2022

539,306

53,709

34,614

45,129

20,580

21,604

19,850

10,780

4,152

169,476

13,537

15,699

17,987

21,075

19,892

35,226

24,320

11,676

2023

509,169

52,745

31,261

43,592

19,440

17,444

17,662

10,478

4,073

162,780

12,931

14,317

17,243

19,605

18,663

33,612

22,646

10,677

2024

492,042

52,141

29,358

42,188

19,171

17,032

16,357

10,251

4,090

157,698

12,373

13,777

16,673

18,824

17,883

33,347

21,225

9,654

14년 비중

8.24

7.82

7.95

3.33

3.76

4.10

1.60

0.73

30.99

3.37

3.56

3.69

3.39

4.08

6.69

5.02

1.70

24년 비중

10.60

5.97

8.57

3.90

3.46

3.32

2.08

0.83

32.05

2.51

2.80

3.39

3.83

3.63

6.78

4.31

1.96

증감(%p)

2.36

△1.85

0.63

0.56

△0.29

△0.78

0.49

0.10

1.06

△0.86

△0.76

△0.30

0.43

△0.44

0.09

△0.70

0.27

  * 교육통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kess.kedi.re.kr)                      

  ** 학생수 : 재적학생수로 재학생, 휴학생, 학사학위취득 유예생, 폐교 잔류 재적학생수 포함

  *** 비중 산출 : 해당 시도 ÷ 전체 학생수                                              

  **** 비중, 증감 : 반올림으로 사칙연산에 유의

 

<대학> 시도별 학생수(1980~2024) 중에서 최근 10

 

(단위 : , %)

 

학생수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14

2,130,046

504,569

213,240

68,000

47,608

88,274

113,583

23,923

10,699

241,635

112,040

104,954

178,098

96,454

50,478

170,723

88,088

17,680

2015

2,113,293

500,178

208,811

67,079

46,379

87,415

115,724

23,852

19,707

242,426

109,341

105,577

167,172

94,571

49,941

169,540

87,657

17,923

2016

2,084,807

498,944

203,419

65,812

45,283

86,280

114,956

23,194

19,249

241,723

106,774

104,706

162,965

92,180

50,112

164,760

86,495

17,955

2017

2,050,619

499,021

198,348

64,336

43,768

84,814

112,638

22,305

18,712

241,244

103,770

102,420

159,783

89,230

48,619

159,290

84,580

17,741

2018

2,030,033

502,807

194,927

63,316

44,183

84,187

113,709

21,519

18,260

239,442

100,605

100,042

157,312

87,245

47,920

154,544

82,469

17,546

2019

2,001,643

505,743

190,526

62,200

43,779

82,653

111,699

20,932

17,945

237,428

98,656

97,160

154,271

85,582

46,780

149,853

79,942

16,494

2020

1,981,003

507,319

186,383

61,667

43,435

82,338

108,791

20,509

17,852

235,519

96,459

96,156

152,343

85,214

45,515

147,688

78,102

15,713

2021

1,938,254

504,661

180,585

60,566

42,805

79,973

105,347

19,924

17,504

234,107

92,973

93,136

149,156

83,015

43,706

141,641

74,202

14,953

2022

1,888,699

496,926

173,226

59,051

42,084

78,184

103,985

19,349

17,101

231,683

89,386

90,606

146,219

79,230

41,869

136,335

69,177

14,288

2023

1,855,374

452,370

165,461

56,585

51,170

75,438

102,950

18,840

16,949

275,249

86,457

85,626

141,916

74,444

38,247

131,644

68,188

13,840

2024

1,836,625

454,369

161,922

56,720

51,232

73,657

102,513

18,289

16,757

275,360

84,193

85,037

138,782

72,457

37,005

129,161

65,663

13,508

14년 비중

23.69

10.01

3.19

2.24

4.14

5.33

1.12

0.50

11.34

5.26

4.93

8.36

4.53

2.37

8.01

4.14

0.83

24년 비중

24.74

8.82

3.09

2.79

4.01

5.58

1.00

0.91

14.99

4.58

4.63

7.56

3.95

2.01

7.03

3.58

0.74

증감(%p)

1.05

△1.19

△0.10

0.55

△0.13

0.25

△0.13

0.41

3.65

△0.68

△0.30

△0.80

△0.58

△0.35

△0.98

△0.56

△0.09

 

<수도권 및 비수도권>

 

 

전문대학

대학

학생수

수도권

비중

비수도권

비중

학생수

수도권

비중

비수도권

비중

학생수

수도권

비중

비수도권

비중

2014

740,801

315,299

42.56%

425,502

57.44%

2,130,046

793,812

37.27%

1,336,234

62.73%

2,870,847

1,109,111

38.63%

1,761,736

61.37%

2015

720,466

304,255

42.23%

416,211

57.77%

2,113,293

788,983

37.33%

1,324,310

62.67%

2,833,759

1,093,238

38.58%

1,740,521

61.42%

2016

697,214

295,960

42.45%

401,254

57.55%

2,084,807

785,950

37.70%

1,298,857

62.30%

2,782,021

1,081,910

38.89%

1,700,111

61.11%

2017

677,721

288,396

42.55%

389,325

57.45%

2,050,619

784,033

38.23%

1,266,586

61.77%

2,728,340

1,072,429

39.31%

1,655,911

60.69%

2018

659,232

282,531

42.86%

376,701

57.14%

2,030,033

786,432

38.74%

1,243,601

61.26%

2,689,265

1,068,963

39.75%

1,620,302

60.25%

2019

643,762

277,071

43.04%

366,691

56.96%

2,001,643

786,950

39.32%

1,214,693

60.68%

2,645,405

1,064,021

40.22%

1,581,384

59.78%

2020

621,772

273,713

44.02%

348,059

55.98%

1,981,003

786,273

39.69%

1,194,730

60.31%

2,602,775

1,059,986

40.73%

1,542,789

59.27%

2021

576,041

256,976

44.61%

319,065

55.39%

1,938,254

781,573

40.32%

1,156,681

59.68%

2,514,295

1,038,549

41.31%

1,475,746

58.69%

2022

539,306

243,765

45.20%

295,541

54.80%

1,888,699

770,693

40.81%

1,118,006

59.19%

2,428,005

1,014,458

41.78%

1,413,547

58.22%

2023

509,169

234,965

46.15%

274,204

53.85%

1,855,374

778,789

41.97%

1,076,585

58.03%

2,364,543

1,013,754

42.87%

1,350,789

57.13%

2024

492,042

229,010

46.54%

263,032

53.46%

1,836,625

780,961

42.52%

1,055,664

57.48%

2,328,667

1,009,971

43.37%

1,318,696

56.63%

감소율

△33.58%

△27.37%

 

△38.18%

 

△13.78%

△1.62%

 

△21.00%

 

△18.89%

△8.94%

 

△25.15%

 

  * 앞의 시도별 학생수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산출

  ** 감소율 : 2014년 대비 2024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의 20244월 이슈통계 수도권 쏠림현상 : 전문대학과 대학방식을 차용


사람들
  • 1/2

광양제철소 4냉연공장 봉사팀, 진상면 삼정마을서 따뜻한 발걸음 이어가 담장 도색부터 생활용품 기증까지… 자매결연마을에 온정 전해

광양제철소 4냉연공장 봉사팀, 진상면 삼정마을서 따뜻한 발걸음 이어가 담장 도색부터 생활용품 기증까지… 자매결연마을에 온정 전해 광양시 광양시는 5월 23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4냉연공장 봉사팀(봉사팀장 안치상)이 자매결연마을인 진상면 삼정마을을 찾아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날 봉사에는 4냉연공장 직...

광양시어린이보육재단, ‘보육사랑 100인+ 기부 릴레이’ 기탁식 개최 10인의 따뜻한 마음이 모여, 미래세대에 희망찬 내일을 선물하다

광양시어린이보육재단, ‘보육사랑 100인+ 기부 릴레이’ 기탁식 개최 10인의 따뜻한 마음이 모여, 미래세대에 희망찬 내일을 선물하다 광양시 광양시는 5월 22일 (재)광양시어린이보육재단이 시청 만남실에서 정인화 광양시장, 이광용 재단 이사장, 김희영 상임이사, 기탁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보육사랑 1...

금호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밑반찬과 선물 꾸러미로 이웃에 행복 배달 저소득 장애인·홀몸 어르신에 밑반찬, 아동·청소년에 특별 선물 지원

금호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밑반찬과 선물 꾸러미로 이웃에 행복 배달 저소득 장애인·홀몸 어르신에 밑반찬, 아동·청소년에 특별 선물 지원 광양시 광양시 금호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공위원장 서은희, 민간위원장 김덕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지난 5월 22일 관내 저소득 장애인 및 홀몸 어르신 10가구에 ‘든든한 한솥밥상...

순천시 왕조2동 음식점 5곳, 「따뜻한 한끼 나눔 릴레이」 펼쳐 정기적으로 빵‧식사 기부로 취약계층에게 온정 전해

순천시 왕조2동 음식점 5곳, 「따뜻한 한끼 나눔 릴레이」 펼쳐 정기적으로 빵‧식사 기부로 취약계층에게 온정 전해 순천시 순천시 왕조2동(동장 정미자)은 지난 22일, 지역 내 음식점 5개소가 참여하는 취약계층을 위한 「따뜻한 한끼 나눔 릴레이」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참여한 음식점...

아람회봉사단, 문수동 이웃을 위한 밑반찬 나눔 활동

아람회봉사단, 문수동 이웃을 위한 밑반찬 나눔 활동 여수시 아람회봉사단(대표 최현정)이 지난 20일 문수동 독거노인과 취약계층 10세대에 밑반찬을 전달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했다. 아람회봉사단은 3년째 회원들이 직접 정성 들여 만든 밑...

현대데코빌(주), 봉강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후원금 지정기탁 2025년 특화사업 원활한 추진 위해 후원금 전달…이웃사랑 실천 앞장

현대데코빌(주), 봉강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후원금 지정기탁 2025년 특화사업 원활한 추진 위해 후원금 전달…이웃사랑 실천 앞장 광양시 현대데코빌㈜이 광양시 봉강면의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해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 광양시 봉강면(면장 김영희)은 현대데코빌㈜(대표 박문옥)이 지난 5월 21일 (재)광양시사랑...

쌍봉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에 여름 이불 지원 독거노인, 장애인 등 20가구에 전달

쌍봉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에 여름 이불 지원 독거노인, 장애인 등 20가구에 전달 여수시 여수시 쌍봉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이원두)는 건강하고 쾌적한 여름나기를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20가구에 여름 이불을 지원했다. 이날 협의체 위원과 주민센터 직원들...

광양기업 사랑나누기 봉사단, 옥곡면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나서 어버이날 있는 5월 지역사회에 따뜻한 나눔 실천

광양기업 사랑나누기 봉사단, 옥곡면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나서 어버이날 있는 5월 지역사회에 따뜻한 나눔 실천 광양시 광양시 옥곡면(면장 김용길)은 지난 5월 18일, 광양기업 사랑나누기 봉사단(대표 박원)과 함께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

광양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6호 나눔가게’ 현판 전달 ‘변함없는 나눔에 답하다’ 총 6곳 나눔가게 선정…민·관 협력 통한 따뜻한 복지 실현

광양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6호 나눔가게’ 현판 전달 ‘변함없는 나눔에 답하다’ 총 6곳 나눔가게 선정…민·관 협력 통한 따뜻한 복지 실현 광양시 광양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공위원장 권회상, 민간위원장 허형채)는 지난 5월 20일, 광양읍에 위치한 후원업체 ‘광양잔기지떡’(대표 안만웅)을 방문해 ‘제6호 나눔가게’ 현판...

순천시 매곡동마중물보장협의체, 탐매소망 물품 전달하며 온정나눔 마중물위원과 결연 맺은 독거노인 안부살피기

순천시 매곡동마중물보장협의체, 탐매소망 물품 전달하며 온정나눔 마중물위원과 결연 맺은 독거노인 안부살피기 순천시 순천시 매곡동마중물보장협의체(위원장 정용태)는 매월 결연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물품을 지원하는 탐매소망마켓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탐매소망마켓은 마중물협의체위원들이 ...
Service / Support
TEL : 010-3327-9033
E-mail : nbna12345@naver.com
AM 09:00 ~ PM 06:00
전라남도 순천시 가곡길 30,103동1414호 / nbna12345@naver.com
더순천 | 사업자등록번호 : 739-16-01151 | 정기간행물 : 전남 아00298 | 발행일자 : 2017년 12월 01일
발행인 : 허대성 / 편집인 : 허유인 /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대성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유선명
Newsletter
* 수집된 이메일 주소는 구독취소 시 즉시 삭제됩니다.
© 2017. THESCNEWS.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