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1일 새정부 ‘기후에너지부’ 공약과 관련,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수도로서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유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록 지사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기후위기가 미래세대 생존까지 심각하게 위협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이재명 대통령께서 밝힌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금까지 기후·에너지 정책은 부처 간 칸막이 행정과 분절된 책임 구조 때문에 실효성이 크게 떨어졌다. 신재생에너지 인허가만 해도 산업부, 환경부, 해수부, 국토부, 지자체가 각기 따로 움직이는 구조 속에서 기업은 불확실성에 발목 잡히고, 주민은 소외되며, 투자는 지연되고 있다.
기후에너지부는 이러한 구조를 통합해, 기후위기와 산업 전환, 에너지 전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국가 전략의 중심 축이 돼야 하고, 전남도가 이를 위한 핵심파트너 역할을 하겠다는 게 김영록 지사의 설명이다.
실제로 전남은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위기 최일선에서 기후변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대한민국 기후리더십을 전 세계에 천명할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여수국가산단·묘도 CCUS와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와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나주에는 한전, 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에너지공기업이 입지해 협업에도 유리하다.
아시아 태평양 최대 3.2GW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비롯해 영농형 태양광, 전국 최초 데이터센터 RE100 산단, 분권형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계획까지 수립하며, 에너지 미래를 현실로 만들고 있다.
이처럼 전남도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 이익공유제 등 새로운 정책대안들을 만들어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다.
김영록 지사는 “전남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1천176GW로 전국(7천333GW)의 16%를 차지해 전국 1위를 자랑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위기의 최일선에서 기후변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이같은 역량과 의지를 갖춘 전남은 기후에너지부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실행 거점이자, 최적 입지”라고 밝혔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로, 이재명 대통령의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과감한 전환의 시작점”이라며 “최전선 현장에서 답을 찾아온 전남도가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기후에너지부’ 조직 설계에 지역 목소리를 담고,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유치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새정부‘기후에너지부 신설’공약에 대한 입장문
- 기후변화의 최전방, ‘기후에너지부’ 에너지수도 전남에 유치되어야 -
기후위기는 지금 우리 세대는 물론, 미래세대의 생존과 번영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 위기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청정에너지로의 대전환 없이는 근본적인 해결과 지속적인 국가 성장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에 이재명 대통령께서 밝히신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을 위한 결정적인 전기가 될 것입니다. 전라남도는 청정에너지로 미래를 여는 이 공약을 도민과 함께 환영하며, 적극 함께하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기후‧에너지 정책은 부처 간 칸막이 행정과 분절된 책임 구조로 인해 실효성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인허가만 해도 산업부, 환경부, 해수부, 국토부, 지자체가 각기 따로 움직이는 구조 속에서 기업은 불확실성에 발목 잡히고, 주민은 소외되며, 투자는 지연되고 있습니다.
기후에너지부는 이러한 구조를 통합해, 기후위기와 산업 전환, 에너지 전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국가 전략의 중심 축이 되어야 합니다.
전남도가 기후에너지부 정책의 핵심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전남은 기후변화의 최전방입니다.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1,176GW로 전국 7,333GW의 16%를 차지하며 전국 1위입니다.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위기의 최일선에서 기후변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기후리더십을 전 세계에 천명할 COP33 유치,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여수국가산단·묘도 CCUS와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와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남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 이익공유제 등 새로운 정책대안들을 만들어 주도적으로 추진해왔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최대 3.2GW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비롯하여 영농형 태양광, 전국 최초 데이터센터 RE100 산단, 그리고 분권형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계획까지 수립하며, 에너지 미래를 현실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량과 의지를 갖춘 전남은 기후에너지부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실행 거점이자, 최적 입지입니다.
전남 나주에는 한전, 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에너지공기업이 입지하여 협업에도 유리합니다. 따라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인 나주에 기후에너지부가 위치해야 합니다.
이제는 실행의 시간입니다. 전남은 이미 현장에서 답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기후에너지부’ 조직 설계에 지역의 목소리를 담고,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과감한 전환의 시작점입니다. 전라남도는 그 변화의 최전선에서 기후에너지부와 함께,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길에 가장 앞장서겠습니다.
2025. 6. 11.
전라남도지사 김영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