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의원(전남 순천(갑), 더불어민주당)은 15일 3대 역사기관(국사편찬위원회·한국학중앙연구원·동북아역사재단)이 최근 10년간 여수·순천 10·19 사건(이하 여순사건)이 없고 학술회의 발표 1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북아역사재단이 김문수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여순사건 관련 학술연구, 보고서 등은 없고 학술회의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여순 사건을 왜곡하는 일이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해 교육부 검인증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일부가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표기해 논란이 됐었다. 리박스쿨 교재로 알려졌으며 여순사건 진압을 암세포 제거에 비유하는 등 논란을 빚었던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이야기」가 초·중·고등학교 도서관에 버젓이 비치되기도 했다.
지난 8월에는 동북아역사재단·서울대가 주최한 「한국 현대사의 새로운 시각: 탈식민, 군정, 민주주의」 국제학술회의에서 여·순사건 주범 이승만을 지나치게 미화했다는 논란도 있었다.
3대 역사기관으로 불리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여·순 사건에 무관심하다 보니 무관심 속에서 왜곡된 극우역사관이 학교현장에서 판을 치고 있다는 것이 김문수 의원의 설명이다.
김문수 의원은 “「여순사건법」이 제정되었음에도 여순사건을 왜곡하여 표현하는 일들이 끊이질 않고 있다. 3대 역사기관의 무관심 속 여순사건 왜곡이 싹트고 있다”라며 “3대 역사기관이 여순사건을 연구하여 올바른 역사관 정립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했다.